북한 도발 규탄대회· 국론 결집 다짐 결의대회 잇따라 열려
전국 협의회별로 개최…
국민기도회·거리행진 등도 벌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북한이 지난 1월 6일 4차 핵실험을 감행한 데 이어 한반도 안정과 세계 평화를 위협하며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가로막는 장거리 미사일을 지난 2월 7일 오전 발사한 것을 강력하게 규탄하는 결의문을 채택·발표했다.
민주평통은 지난 2월 8일 발표한 결의문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며,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해 유엔 안보리에서 대북 제재가 논의되는 시기에 단행됐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라고 규정했다.
민주평통은 우리 정부가 국제사회와 긴밀한 공조를 통해 북한의 행동을 바꾸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고 있는 데 대해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하면서, “확고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튼튼한 안보태세를 확립하고, 미국의 요청을 수용해 한반도 사드 배치 논의에 착수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또한 “북한의 4차 핵실험에 이은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 비핵화를 거부하고 핵·경제 병진노선으로 김정은 체제를 유지하려는 잘못된 선택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면서 “북한은 지금이라도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비핵화 결단을 내리고 국제사회의 정상적인 일원으로 조속히 복귀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아울러 이번 결의문을 통해 민주평통의 2만 자문위원은 “의장이신 박근혜 대통령을 중심으로 일치단결해 북한의 극단적 도발로 야기된 현재의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평화통일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구축해나갈 것”을 다짐했다.
민주평통은 북한의 도발을 규탄하는 결의문 채택과 더불어 국내 17개 지역회의와 228개 시·군·구 지역협의회에서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국민적 이해를 제고하고 위기 상황 극복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각 지역별로 500여 개의 통일안보 현수막을 내걸고 규탄 결의대회를 가졌다. 이에 앞서 지난달에는 북한의 4차 핵실험을 규탄하는 1인 릴레이 활동을 3400여 명의 자문위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전국적으로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