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여론조사

남북 대화 채널 복원 77% “공감”
“남북관계 좋아질 것” 14%P 급상승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우리 국민들의 통일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을 대상으로 지난 6월 실시한 여론조사를 통해 나타난 통일 인식, 남북관계 및 안보 의식, 대북정책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지난 6월 국민을 대상으로 통일 인식, 남북관계 및 안보 의식, 대북정책 인식 등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국민 10명 중 8명(81.4%)이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는 지난 2017년 1차 조사보다 6.2%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5월 이후에도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수차례 계속됐지만 문재인 정부에 대한 높은 지지도와 함께 향후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국민의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통일 후 국가 발전에 대한 공감 정도에 대해 우리 국민의 63.7%는 긍정적인 시각을 보인 반면, 34.8%는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통일 공감대 확산을 위한 우선 과제로 ‘여·야·정,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통일국민협약 추진’이라는 응답이 48.5%로 가장 높게 나타나 협치(協治)에 대한 높은 시민적 요구가 반영됐다. 이어 통일 차세대 전문가 양성(20.0%), 지역 단위의 시민 통일교육(9.8%), 통일 전시관 등 통일센터 설치(6.7%) 순으로 조사됐다.

향후 남북관계 전망에 대해 ‘좋아질 것이다’라는 응답이 48.1%로 2017년 1차 조사에 비해 13.9%포인트 급상승했으며 이는 최근 2년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또한 2017년 1차 조사와 비교해 20대의 긍정적 응답이 가장 큰 폭(21.8%)으로 증가해 남북관계에 대한 젊은 층의 인식 변화가 크게 두드러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문재인 정부에 대한 높은 지지도가 남북관계의 긍정적 전환에 대한 기대감을 상승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계속되면서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지속되고 있다. 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대상이라고 생각하는지 질문한 결과 ‘경계 내지 적대 대상이다’라는 응답이 44.3%로 ‘협력 내지 지원 대상이다’라는 응답 39.8%보다 높게 나타났다. 2017년 1차 조사와 비교했을 때 ‘협력 내지 지원 대상’이란 응답은 5.1%포인트 증가했지만, ‘경계 내지 적대 대상’이란 응답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상관없는 대상’이라는 응답은 4%포인트 하락했다.

통일 여론조사 ※ 모름, 무응답 제외

정권 교체 이후에도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계속되고 있어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대북정책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북한을 ‘협력 및 지원 대상’으로 보는 인식의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북한의 개혁·개방 가능성을 높게 보는 응답은 일반 국민의 경우 38.9%에 불과해 2016년 1차 조사 이후 향후 북한 체제의 개혁·개방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나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계속되고 있어 북한의 정책 전환에 대한 여론의 기대감이 상승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의 안보 상황에 대해 ‘안정적이다’라는 응답은 22.8%, ‘불안정하다’는 응답은 41.3%로 나타나 불안정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에도 북한은 수차례의 미사일 발사를 감행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안보 상황에 대해 ‘안정적이다’는 응답은 2017년 1차 조사에 비해 5.1%포인트 상승했고, ‘불안정적이다’라는 응답은 7.9%포인트 하락했다.

북한의 무력 도발이 지속되고 있지만, 문재인 정부에 대한 높은 신뢰가 안보 상황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에 대한 인식

우리나라 통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칠 나라를 질문한 결과 중국(52.6%)→미국(37.1%)→러시아(1.9%)→일본(1.6%) 순으로 나타났다. 대북 제재의 효과 및 북한의 무력 도발 억제에 미국보다는 중국의 영향력이 더 유효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여론이 형성돼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미 정상회담을 포함한 정상외교가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리 국민의 74%가 기여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북한의 무력 도발을 억제하고 북한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국가 간 정상외교를 통한 정책 공조가 필요하다는 데는 높은 공감대가 형성됐다.

북핵 문제 해결, 대화와 교류협력으로 접근 원해

정부의 대북·통일정책 중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응답이 5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북한 인권 개선(25.7%)’, ‘이산가족·국군포로·납북자 문제 해결(23.7%)’, ‘남북 사회·문화·체육 교류 활성화(22.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북핵 문제 해결 과정에서 우리가 주도적 역할을 하기 위해 남북 간 대화 채널을 복원하는 것에 대해 ‘공감한다’는 응답은 76.9%, ‘공감하지 않는다’는 22%로 나타나 남북 간 대화 채널 복원에 공감하는 응답이 더 높게 조사됐다. 이는 새롭게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남북 간 대화 채널을 복원함으로써 교착된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찾고 북핵 문제의 실질적 해결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하길 바라는 여론의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대북·통일정책 중 우선 추진 정책

남북관계의 단절을 막기 위해 민간 차원의 교류협력을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연하게 추진한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 ‘공감한다’는 응답이 74.4%,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23%로 조사됐다. 오랫동안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남북관계를 전환하는 데 민간 차원의 교류협력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광범위하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톡 아이콘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스토리 아이콘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