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행복한 통일

Webzine Vol.44 | 2016.09

e 행복한 통일

vol 44 | 2016.09

전체메뉴 SEARCH

남북공감 | Today 남북

차례상도 차리고 성묘도 가는 북한의 추석 지철호(NAUH 대외협력팀장)

남한에서는 ‘추석’ 하면 ‘민족대이동’이란 말이 먼저 떠오른다. 대한민국 국민 3천만 명이 일제히 귀성길에 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마다 명절이면 전국 고속도로 곳곳이 자동차로 꽉 차 주차장을 방불케 하곤 한다. 요즘에는 종교적인 이유로 차례를 지내지 않거나 연휴 동안 해외여행 등을 떠나는 사람이 늘어나긴 했지만, 대부분의 남한사람들에게 추석명절은 그동안 보고 싶었던 가족 친지들과 만나는 ‘웃음이 넘치는 날’이다. 차례상을 준비하는 일이 여간 힘든 일이 아니라는 것과 이 때문에 가정불화가 생기기도 한다는 이야기가 간혹 들려오기도 하지만 말이다.

공휴일로 지정된 건 80년대 후반, 성묘 풍습은 남아있어

▲ ​추석을 맞아 성묘하러 가는 북한 주민들그렇다면 북한의 추석은 어떤 모습일까? 필자는 북한의 한 탄광마을에 살았던 사람으로, 서민들의 소박한 추석나기 풍경 위주로 이야기를 시작해본다. 북한은 1980년대 중반까지 민속 명절을 봉건 잔재로 취급하면서, 주민들에게 봉건유습을 타파하고 사회주의 생활양식을 따르도록 했다. 1988년부터 추석을 국가공휴일로 지정하긴 했지만 쉬는 날은 딱 하루뿐, 그 이상 휴가를 낼 수는 없었다.

북한 역시 남한처럼 추석 때마다 조상의 묘에 가서 차례를 지내는 성묘 풍습을 계속 이어오고 있다. 다만 이동의 자유가 없어 여행증 없이는 먼 지역으로 갈 수 없기 때문에 ‘귀향길, 귀성길 행렬’은 좀처럼 찾아볼 수가 없다. 사실 여행의 자유가 있다 하더라도 열차가 며칠에 걸쳐 가기 때문에 도중에 먹을 식사를 준비하는 일도 골치 아픈 스트레스 중 하나일 것이다. 더욱이 올해처럼 더운 날은 상한 음식도 먹을 각오를 해야 하는 것이 바로 북한의 실정이다.

차례상에 쓸 음식재료 찾으러 온동네 발품

차례상의 경우 남한에서는 전통 방식에 따라 대추, 밤, 배, 삼색나물, 송편, 식혜, 적 등의 음식들을 장만하지만 북한에서는 가정형편에 맞게 흰 떡과 술, 나물 등을 준비한다. 추석준비를 위해 재래시장이나 마트에서 거의 모든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는 남한과 달리, 북한에서는 개인 교통수단(자가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차례 음식 준비를 위해서는 여기저기를 발로 뛰어야 하는 고단함이 있다. 대부분의 서민들은 ‘차례 음식을 사는 것이 장사꾼에게 이득만 주는 일’이라고 생각하여 집에서 직접 모든 음식을 만든다.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었을 때 북한 명절 즈음해서 남자들이 가장 큰 고충이라고 여기는 것은 여성들로 가득한 방앗간에 가서 물에 불린 쌀을 기계(로라기계)에 넣고 가루를 내야 하는 일이다. 깊은 밤까지 기다렸다가 떡가루를 내오기 일쑤인데, 운이 나쁘면 수수나 좁쌀, 기장, 찰강냉이(옥수수) 뒤에 내리게 될 때가 있다. 이렇게 되면 아무리 흰 쌀을 가져가서 떡가루를 내왔다고 해도 잡곡의 색을 띠기 때문에 모양새가 좋지 않아 타박을 받게 된다.

▲ ​북한 전통방식으로 만드는 명절음식술과 두부 역시 동네 개인집을 통해 구해야 하고 그 외에 해물과 육류, 콩나물, 무 등 여러 가지 식재료는 장마당을 통해 구한다. 조미료 역시 장마당에서 사오는데 운이 나쁘면 중국산이나 개인이 만든 가짜(북한말 요재)조미료를 속아서 사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추석 명절이 되면 평소보다 훨씬 많은 물을 지게에 길어 와야 하고 더 많은 땔감을 구해 와야 하다 보니 추석나기가 만만치 않았던 기억이 난다. 필자가 살았던 동네에는 경제적 형편 때문에 추석 때 송편을 만들어 먹는 집이 드물었지만,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집에서는 흰 떡과 함께 송편을 빚어서 나누었다. 북한의 송편은 소로 콩을 넣고 그 크기는 남한송편 보다 훨씬 크다.

집에서 차례 지내지 않고, 주로 성묘 가서 음식 나눠

한편, 북한에서는 남한처럼 집에서 차례를 지내지 않고 주로 음식을 장만한 뒤 조상의 묘에 가서 성묘를 한다. 밤 새워 장만한 음식을 싸들고 산소에 가서 벌초를 한 다음 음식과 술로 제를 지낸 뒤 큰절을 하는 것은 남한과 같다. 다만 대대로 한 지역에서 터를 이뤄 살아온 시골 주민들과 달리 대도시 주민들은 산소가 멀리 외곽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로 가정에서 간단하게 차례를 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북한 주민들은 자가용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전거나 도보를 통해 성묘를 가며, 버스를 이용할 경우 콩나물시루같이 혼잡한 시간을 참아야 한다. 이렇게 힘든 과정을 거쳐 일단 조상에게 예를 올리고 나면 그때부터는 가족들과 준비해간 음식을 즐겁게 먹으면 된다. 묘지 주변에는 이웃 사람들의 묘도 있는데 아는 사람들끼리 만나면 여러 집이 한데 음식을 모아놓고 함께 맛보곤 한다. 부모나 조부모가 살아계시던 과거의 이야기를 나누며 한바탕 이야기꽃을 피우는 것이다.

◀▲ ​추석 성묘하는 북한 주민들

오후부터는 이웃 친지들이 집으로 놀러와 함께 음식을 나누기도 하고 마을 사람들끼리 민속놀이를 즐기기도 하지만 젊은 세대들이 명절 때 노는 모습은 사뭇 다르다. 주로 저녁이 되면 수건돌리기 게임과 같은 오락회를 하거나 기타를 치면서 남한 노래를 몰래 부르는 ‘신식 남자’가 되기도 하며, 마음에 드는 이성이 있다면 용기를 내보기도 하는 하루이다. 혹은 가까운 친구들끼리 북한의 사회상에 대해 푸념을 하기도 하고, 중국이나 미국 등 외국 사람들의 생활은 어떠한지 서로 보고 들은 것을 공유하는 하루이기도 했다. 또한 장마당에서 사놓기는 했지만 입을 수 없던 청바지나, 몸매가 드러나는 옷을 집에서 몰래 친구들끼리 입어보며 자랑할 수도 있었던 편한 시간이었다.

북한에서 추석은 차례상에 올릴 맛있는 음식을 준비하면서도, 전날에는 부실한 음식을 먹고 배가 고파서 견딜 수 없을 때가 많았다. 이 글을 쓰고 있으니, 오늘 필자가 북한에 있었다면 진땀을 흘리며 음식 재료를 찾아 장마당으로, 개인 가정집으로 온 동네를 휘젓고 다녔을 것이라는 생각에 한편으로는 절로 웃음이 나오기도 한다.

<사진.연합뉴스>

※ 웹진 <e-행복한통일>에 게재된 내용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의 견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프린트하기

이번호 전체 기사 보기 기사발행 : 2016-09-12 / 제44호

함께해요! 이벤트

이벤트 ① 이벤트 ① >같은 듯 다른 남북한의 속담찾기
이벤트 ② 이벤트 ② > ‘북한의 추석 풍경’ OX 퀴즈!
이벤트 당선작 이벤트 당선작 > 이벤트 당선작
민주평통 앱 설치 이벤트
댓글 이벤트
웹진앱을 설치해보세요! 웹진 이용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