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행복한 통일

Webzine Vol.38 | 2016.03

e 행복한 통일

vol 38 | 2016.03

전체메뉴 SEARCH

남북공감 | 좌충우돌 남한 적응기

‘생활언찌’ 탈출, 남한에서도 또로로하게!

이제 얼마 안 있으면 산과 들에 진달래가 가득 피어날 것이다. 진달래는 북한 사람들에게 ‘설렘’과 ‘고됨’이라는 상반된 느낌을 준다. 포근한 봄의 전령사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다시 고된 농사일이 시작됐다’는 것을 알리는 꽃이기도 하다고. 하지만 2014년 남한에 와서 두 번째 봄을 맞는 서른 살 혜영 씨(가명, 무산출신)는 올해 대학 신입생이 되어 힘찬 새출발을 시작했다. 비록 “중3 때부터 수포자(수능포기자)였지만 대학에 왔으니 씨씨(CC, 캠퍼스 커플)를 해보고 싶다”는 친구들의 말을 전혀 이해하지 못해 첫날부터 당황하긴 했지만, 혜영 씨는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남한사람들과 어우러지며 동화되어가고 있었다.

“난 생활언찌, 친구들이 배 끄러쥐고 웃어요”

중국에 일정 기간 체류하지 않고 ‘직행’으로 남한으로 온 혜영 씨. 북한에서 ‘또로로하게(똑똑하게) 생겼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지만, 1년 전만 해도 모든 게 낯설어 실수투성이였다는 그녀는 스스로를 ‘생활언찌(매사에 서투르기만 한 사람을 뜻하는 북한말)’라고 불렀다. 생활 속에서 실수를 연발해 친구들이 ‘배 끄러쥐고(배를 쥐고)’ 웃는다는 것.

은행에서 현금인출기를 처음 혼자서 사용해보던 날, 기계음이 시키는 대로 통장을 넣고 인출 금액을 누른 다음 비밀번호까지 다 입력했는데 한참 기다려도 돈이 나오지 않았다.
“북한에서 30년을 살았는데 이렇고 손 놓고 당한 적은 없었거든요. 이거 다 협잡(사기) 아니냐 하는 생각이 들었죠.”
혜영 씨는 당장 2층 영업점으로 달려갔고 직원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런데 혜영 씨는 처음에 왜 현금을 찾지 못했을까? 바로 맨 마지막 과정인 ‘확인’버튼을 누르지 않은 채 가만히 기계를 지켜만 보고 있었기 때문이다. (탈북민의 은행 이용기 더 보기)

일러스트 이미지버스와 관련된 이야기도 있다. 친척집에 가느라 경기도 좌석버스를 탔는데 버스기사 아저씨가 마이크에 대고 ‘15번 좌석 손님, 카드 찍으세요’라고 반복해서 말하고 있었다. ‘남한 버스기사 아저씨는 방송도 부나 보다(하나 보다)’는 생각만 했을 뿐 영문 모른 채 앉아 있던 혜영 씨. 왠지 이상한 느낌이 들어 고개를 들어보니 사람들이 모두 자신을 쳐다보고 있는 게 아닌가.
“북한에서는 차장이 돌아다니면서 돈을 걷거든요. 그래서 버스기사님이 방송 불(할) 때도 저에게 하는 말인지 몰랐어요. 쥐구멍에라도 들어가고 싶을 만큼 민망해서 결국 다음 정거장에서 내렸어요.”

가르치는 직업 아닌데 선생님이라뇨?

혜영 씨가 또 하나 낯선 게 있었으니 바로 ‘김혜영 님’ ‘김혜영 선생님’ 하는 호칭이다. 북한에서는 학교나 교화소(교도소)에서만 선생님이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님’이라는 존경어(존칭)는 평백성(일반 주민)에게 안 쓴다는 게 혜영 씨의 말이다.
“김혜영 선생님이라고 해서 처음에는 ‘놀리나?’ 하는 생각도 들었어요. 그런데 알고 보니 남한에서는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래도 선생님이라는 말을 쓰고, ‘님’자를 꼭 붙이더라고요? ‘어서오세요, 감사합니다’라며 매장 입구에서 인사를 하는 것도 부담스러워 한동안 저도 얼결에 꾸뻑 인사하며 다니기도 했어요.”

일러스트 이미지 2014년에 남한 사회에 막 나와서 아는 동생과 함께 병원에 갔던 혜영 씨는 동생이 잠시 나간 사이 간호사가 ‘김혜영 님, 김혜영 님’하고 자기 이름을 부르는 걸 들었다. 이름 뒤에 ‘님’자를 붙이니까 이상했지만 주뼛주뼛 접수대 앞으로 다가간 혜영 씨. 간호사가 몇가지 질문을 했는데 혜영 씨는 그 말을 알아듣지 못했다.
“그분이 말씀하시는 게 혓바닥에서 ‘오로로 오로로’ 하는 것 같았어요. 제가 예? 예? 반복해서 질문하니까 ‘정신이 나쁘지 않냐(정신질환을 갖고 있지 않냐)’고 생각할까 봐 창피했어요.”
억울한 마음에 속이 상한 혜영 씨는 저 멀리 동생이 돌아오는 것을 보고 감정이 북받쳐서 큰소리로 동생을 불렀다. 그랬더니 또다시 병원 안에 있는 사람들의 시선이 온통 혜영씨에게 쏠렸다.
“북한에서는 집 앞마당에서 ‘아무개야 아무개야’ 이렇게 소리쳐 부르거든요. 그런데 남한 사람들은 소리를 너무 안 지르는 것 같아요. 동생이 그 모습을 보고 마수스럽다고(창피하다고) 배 끄러쥐고 웃더라고요.”

가세일한다면서 왜 옆집 고깃값과 같아?

때로는 이런 오해 때문에 언성을 높이고 얼굴을 붉혔던 적도 있다. 영화 티켓을 구매한 뒤에 좌석마다 지정된 번호가 있는 줄 모르고 아무 빈자리에나 앉았던 것. “갑자기 누군가가 자리 주인이라면서 일어나라는 거예요. 제가 따졌죠. 우리도 돈 냈는데 왜 일어나라고 하냐고요. 그랬더니 그분이 우리 표를 보자고 하시면서 자리를 찾아 데리고 가서 앉혀 주셨어요. 망신스럽기도 했고 고맙기도 하더라고요.”

일러스트 이미지 가끔은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이라도 잘 이해가 가지 않을 때가 있었다. 고깃집에서 세일을 한다고 하기에 30분 동안이나 줄을 서서 고기를 샀는데 오히려 가격이 더 비싸더라는 것. “할인판매를 한다고 계속 광고를 하기에 완전 싸게 파는가보다 싶었죠. 그런데 고기를 사서 집에 가다 보니 다른 가게에서도 그 가격에 그냥 파는 거예요. 제가 다시 돌아가서 따졌어요. 세일도 안 하면서 거짓말 친다고요.”

오랜 시간 줄을 서는 것도 익숙하진 않다고 했다. “고향에선 먼저 사는 사람이 임자니까 줄 잘 서는 사람보다 잘 끼어들어서 사는 게 멋있어 보였는데 남한에서는 매번 줄을 서야 해서 답답했다”는 것. 혜영 씨는 “쌀에서 인심 난다는 말처럼 내가 당장 먹을 게 충분해야 누굴 도와줄 여유도 있고 줄을 서서 기다릴 여유가 있지, 다 없어져 버릴까 봐 조마조마한데 어떻게 마냥 줄만 서고 있냐”며 겸연쩍어했다. 하지만 혜영 씨는 이제 남한 사회에 왔으니 남한식 공중도덕은 철저하게 잘 지키고 있다며 활짝 웃었다.

<글. 기자희>

나 살던 고향은 풍산개가 유명한 무산, 철광석도 제일!

※ 위 사례에서 소개된 북한의 문화는 북한이탈주민 개인의 경험에 의한 것으로 현재 북한 상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지역과 탈북 연도를 참조해주세요. <나의 살던 고향은>은 북한이탈주민에게 듣는 내고향 이야기입니다.

※ 웹진 <e-행복한통일>에 게재된 내용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의 견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프린트하기

이번호 전체 기사 보기 기사발행 : 2016-03-09 / 제38호

함께해요! 이벤트

이벤트 ① 이벤트 ① > 다 함께 통일나무를 심어봐요!
이벤트 ② 이벤트 ② > 통일 새싹을 찾아보세요
이벤트 당선작 이벤트 당선작 > 이벤트 당선작
민주평통 앱 설치 이벤트
댓글 이벤트
웹진앱을 설치해보세요! 웹진 이용 GUIDE